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37)
봉태규, 정려원의 영화 <두 얼굴의 여친> 요즘은 영화마다 뭔 새로운 소재를 끌어내는 게 유행인가보다. 이번에는 다중인격이다. '리턴'은 수술중각성과 최면, '검은집'은 사이코패스, '두얼굴의 여친'은 공포나 스릴러류는 아니었지만 다중인격이라는 야리꼴리한 소재를 집어 넣었다. 영화중에 정려원은 이름이 3개다. 아니, 하니, 유리... 사람이 왔다갔다 하는 게 무슨 심리극 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봉태규. 잘생긴 것도 아니고 비리비리한게 별 매력도 없이 입만 커보이는데 주인공이다. 이유는? 역시 연기. 외모가 잘나지 않은 배우중에 잘나간다 치면 대부분 연기파라고 한다. 봉태규 역시 연기 제법 되고 특출나지 않은 평범한 도시의 젊은 사람으로 느껴진다. 약간 어눌한... 정려원. 가수 출신의 이쁜 배우다. 하지만 세가지 캐릭터의 주인공 역으로 영화를 끌..
흔들리는 Google 검색의 아성과 반전을 노리는 경쟁사의 차별화 포인트 Washingtonpost誌는 지난 8월 9일 "Google이 항상 최고의 선택은 아니다"(Google Isn't Always The Best Search Choice / By Rob Pegoraro)라는 기사를 통해 Google이 그 동안 장악해온 웹 검색 부분에서 취약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경쟁사들은 이를 기회로 Google과의 차별화를 통한 시장 저변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Google은 미국 웹 검색 시장에서 50% 이상의 압도적인 점유율로, 2위 Yahoo와도 큰 격차를 유지하며 검색 시장의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Yahoo, Microsoft의 Live Search, IAC의 Ask.com 등 Google 경쟁사들은 신규 서비스 출시와 서비스 개선을 통해 ‘Google 독주’ ..
홍대앞 카페 <고도씨와 피노키오> 가끔이지만 홍대앞 카페를 가면 새로움을 느끼게 해준다. 획일화되고 답답한 느낌의 도시 생활속에서 사람들 사는 모습의 문화와 창작의 신선함이 베여 있다. 대개 오래되지 않고 드러나 있지 않고 구석구석에서 발견되어지는 것도 카페의 찻속 향기 못지 않게 함께했던 이들을 기억하게 만든다. 이런 곳을 찾게되면 항상 누가 이곳의 주인일까, 뭐하는 사람일까, 얼마나 들었을까하는 생각들이 스친다.
나침반의 N표시는 북쪽을 가리킨다 얼마전 승진과 자리 쟁탈전, 업무·의사 결정의 주도권 다툼, 줄서기, 같은 편 밀어주기와 상대편 배제 등의 '사내정치'가 이뤄지고 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다. 그러면서 대부분이 사내정치는 부정적으로 평가를 해놨다. 그 의미를 충분히 알지만 좀 다르게 생각할수도 있을 것 같다. 부정적인 사내정치가 안좋은거지 사내정치 자체가 부정적인 것이라고 할수만은 없을 것 같다. 아니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들이 모인 공간에서 원론적인 의미의 정치가 안이뤄지는게 가능한가 싶다. 사람들이 모이면 관계가 생기고, 그 관계속에서 이해관계가 얽히게 되고, 자선단체가 아닌 이상 이기적인 행동과 판단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런 가운데 명명백백한 의사결정은 한계가 있고 그런 제반 조건 조차도 고려하는 것이 정치다. 회사 안..
현황 파악도 안되는데 몇년후를 어떻게 내다보나 뭘 하던지 할때 한꺼번에 해야지 띄엄띄엄, 한참 쉬었다 하는게 보통 힘든게 아니다. 특히 공부가 그렇다. 대학원 4학기를 마쳐놓고 논문학기를 몇번을 그냥 보내고 다시 오늘 논문지도교수배정 신청서 마감일이 왔다. 마침 회사에서 논문쓰기 딱 좋은 제반환경이 되었기에 맘잡고 이번 가을은 논문 쓰는 계절로 정하고 다시 도전하려고 한다. 그런데 따지면 이때까지 논문 쓰는 거 자체가 힘들어서 미룬 게 아니다. 기왕 쓰는거 제대로 써보자고 하는 마음이 커서 그랬던 것이다. 그래도 평생 따라다닐 경력에 남는건데 몇년 지났을때 "저거 뭐야?"하게 안되게 하려고 말이다. 대략의 주제를 정해서 준비중이지만 아직 확신이 안서는 게 사실이다. 요즘 5년후 회사 비전을 준비하는 회의를 하면서도 가끔 생각해보는데 사실 5년전을 생..
시장과 여론을 좌우하는 뉴스는 얼마만큼 고민하고 태어날까? 뉴스의 가장 큰 소비처 중 하나가 시장, 특히 증권사 객장이지 않나 싶다. 그 많은 경제전문지와 뉴스가 뭘로 먹고 사나 했더니 주식시장을 보면 뉴스에 민감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인터넷으로 주식을 사고팔 수 있는 증권사 프로그램에서 각 종목별 뉴스와 주가추이는 실시간으로 연동되면서 일희일비를 이끌어낸다. 남북관계가 좋아지면 관련 주식이 뜨고, 누가 대선후보로 유력하다고 하면 관련 주식이 뜨고, 미국에서 서브프라임모기지가 어쩌구저쩌구 하면서 크게는 하루에 15%씩 올라가고 내려간다. 돈, 재산 아니 기업의 자산, 국가의 시장을 들었다 놨다 한다. 정치판도 뉴스의 가장 큰 소비처 중 하나다. 정치인들은 한번이라도 매체에 나오기 위해서 애를 쓴다. 별거 없는데 기자회견을 하고 보도자료 뿌리고... 매체, 뉴스에..
美, 인터넷 사용자중 34% 무선인터넷 사용 미국 인터넷 사용자 중 34%는 집, 회사, 혹은 그 외의 곳에서 무선인터넷을 사용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12월에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Survey에서 실시된 조사결과에 따르면, 39%의 미국 인터넷 사용자들은 노트북을 소유하고 있고, 그중 80%는 자신들의 노트북은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노트북 사용자 중에서 88%는 가정용, 57%는 집 혹은 직장이 아닌 그 외의 곳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 36%는 직장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인터넷 유저중 25%는 무선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을 사용하고, 그중 54%는 집, 회사 혹은 그 외의 곳에서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휴대폰을 사용한다...
8월 이동통신 가입자 현황 지난 8월 이동통신 시장에서 SK텔레콤과 KTF, LG텔레콤의 순증 가입자는 각각 7만2012명과 6,737명, 5만2305명을 기록했다. SK텔레콤는 지난 8월 가입자 수가 2145만9213명으로 전월에 비해 7만2012명 증가했다. 신규 가입은 58만2211명, 해지는 51만119명을 기록했다. 지난 8월말 현재 WCDMA 누적가입자는 80만4098명을 기록,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KTF는 지난 8월 가입자 수가 1353만2605명으로 전월에 비해 6737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7월 순증 1만4308여 명의 50%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신규 가입은 57만16명, 해지는 56만3279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KTF의 SHOW 누적 가입자는 167만6110명을 기록, 전달보다 6만명 이상이 증가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