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37)
100% 오픈 소스로 개발하는 Daum의 Open 전략 지난 9월 5일 제주도에서 열렸던 Lift Asia 08 컨퍼런스 두번째날 오픈세션에서 다음커뮤니케이션 윤석찬 DNA Lab팀장은 Daum의 오픈 전략에 대해서 소개했다. 1. OPEN STANDARD 가. 웹 표준을 기반한 UI 표준화 나.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강화 : 한메일 익스프레스, 다음 캘린더 등을 AJAX 기반으로 개발 다. 국제화 기반 개발 : 라이코스 메일, 라이코스 플래닛 라. RSS FEED 다변화 정책 추진 : 카페 RSS 서비스 마. Cross Platform 기반 기술 계속 개발 : 동영상의 가장 큰 이슈인 리소스 이슈를 생각하면 ActiveX로 개발했어야 했지만 Daum은 플래시를 기반으로 동영상 플랫폼을 개발했다. 2. OPEN SOURCE 가. 사내 OPEN SOURCE 사..
포털 Daum의 모바일 전략 지난 9월 5일 제주도에서 열렸던 Lift Asia 08 컨퍼런스 두번째날 오픈 세션인 세번째 세션에서 다음커뮤니케이션 모바일TFT의 박재범 매니저는 'Daum의 모바일 전략'을 소개 했다. 자체적인 조사 결과 대부분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들 수동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조사 결과 주된 모바일 인터넷 사용 목적은 킬링타임을 활용하기 위한 여가활동이었고, 그 다음으로 문자, 사진 전달등의 커뮤니케이션이었다. Daum은 이 조사를 통해서 저렴하게 seamless하게 웹을 즐길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접근하자고 판단했다. Daum이 모바일의 특성에 잘 조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하기도 했는데 회사명이 '다음커뮤니케이션'으로 상징되는 바와 같이 Daum이 지향하는 바가 제한된 사업에 있지 않다는 데서 긍..
민윤정 본부장이 말하는 Daum의 위기와 도전 지난 9월 5일 제주도에서 열렸던 Lift Asia 08 컨퍼런스 두번째날 오픈 세션인 세번째 세션에서 다음커뮤니케이션 민윤정 본부장은 '다음의 위기와 도전'이라는 주제의 발제에서 95년 회사 설립이후 10여년만에 첫화면 1일 1억 페이지뷰 정도를 기록할 정도로 많이 성장했다고 했다. 촛불 시위와 세무 조사 등의 보여지는 면 이외에도 디바이스 컨버전스가 증가하고 있고,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등 기업 리스크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인정하고, 네이버에 추월당한 UV 트랜드를 비교하면서 다음의 위기상황에 대한 인식과 그를 극복하기 위한 도전에 대한 고민의 결과를 3가지로 설명했다. 먼저 핵심에 집중하자는 것. 그동안 해외시장에 대한 도전과 실패, 플래닛의 교훈 등을 통해서 그 중에 중요한 것은 핵심사업만이..
촛불 시위는 변화와 참여에 대한 열망 지난 9월 5일, Lift Asia 08 컨퍼런스 두번째날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펼쳐진 두번째 세션에서 희망연구소의 홍일표 박사는 지난 5월 한국을 달구었던 촛불시위를 '변화와 참여에 대한 열망'이라고 표현하면서 광화문과 시청앞의 촛불시위가 처음이 아니었음을 되새겨준다. 80년대 후반 민주화 운동을 위해 모인 사람들의 모습도 시청앞이었고, 낙선운동과 노무현 대통령 선거도 같은 장소에 사람들이 모였다. 그러다가 2002 월드컵 거리 응원에는 처음으로 밤에 도로로 나왔고, 2002년 겨울 다시 거리로 나오게 만든 것은 미선, 효순양 미군장갑차 사망 사건과 한미협정 문제였다. 이후 2004년 대통령 탄핵 무효 촛불시위로 밤에 촛불시위가 열리게 되었다. 이뿐이 아니다. 이전의 시위가 남성들 중심이었고, 폭력이..
블로거 수익모델과 다음 블로거뉴스AD에 대한 기대 얼마전 제법 큰 규모의 팀블로그로부터 함께할 것을 제의받은 적이 있는데 결국 정중히 사양할 수밖에 없었던 적이 있다. 여러 사정이 있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내가 투자해야할 시간적인 부담이었다. 평범한 직장인인 내 현실에서 하루에 수건의 의미있는 포스팅을 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강요된 것도 아니었고 제시한 포스팅에 대한 댓가도 적은 금액이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전업을 할만큼에는 못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참여해서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기도 싫었다. 그런 과정을 거치면서 블로그의 수익모델과 제반 환경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보았다. 블로그를 하는 매력 중의 하나가 수익모델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네이버나 이글루스 같이 불가능한 곳도 있지만 구글의 애드센스로 대표되는 블로그의 수익모델은 그..
눈과 귀를 평화롭게 하는 영화, 맘마미아 제목 : 맘마미아! Mamma Mia! 장르 : 코미디, 뮤지컬, 멜로/애정/로맨스 런닝타임 : 108분 개봉일 : 2008.9.3 감독 : 필리다 로이드 Phyllida Lloyd 각본 : 캐서린 존슨 Catherine Johnson 출연 : 아만다 사이프리드 (Amanda Seyfried / 소피), 메릴 스트립 (Meryl Streep / 도나), 피어스 브로스넌 (Pierce Brosnan / 샘 카마이클), 콜린 퍼스 (Colin Firth / 해리 브라이트), 스텔란 스카스가드 (Stellan Skarsgard / 빌), 줄리 월터스 (Julie Walters / 로지), 크리스틴 바란스키 (Christine Baranski / 타냐), 도미닉 쿠퍼 (Dominic Cooper / 스카이) 등..
베이징과 서울의 빌딩이 1촌을 맺는다 지난 9월 4일부터 제주도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Lift Asia 08 컨퍼런스 둘째날 첫번째 세션의 주제는 '네트워크화된 도시'였다. The Long Here, the Big Now 이라는 주제로 발제를 한 Nokia Design의 Adam Greenfield는 적극적인 사용자가 되는 것이 진정한 유비쿼터스 도시의 모습이라고 한다. 일본 지하철에서 사람들이 핸드폰을 들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도시에서의 개인 행동이 물리적인 환경에만 지배되지 않는다고 했다. 네트워크 정보가 쌓여서 일정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The Long Here, The Big Now, The Soft Wall 의 개념을 설명했다. 한 참가자가 유럽의 유비쿼터스화가 더딘 문제에 대한 질문을 했는데 Adam ..
구글이 인수한 TNC와 인터넷기업의 수익모델 9월 12일 점심을 기해서 한국의 블로그스피어는 난리가 났다. 세계 최고의 인터넷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구글이 한국의 테터엔컴퍼니를 인수, 사업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는 발표가 났기 때문이다. 구글과 태터앤컴퍼니가 한 식구가 됩니다. : 구글코리아 블로그 태터앤컴퍼니, 이제 Google 과 함께 합니다. : 테터앤컴퍼니 블로그 테터엔컴퍼니(Tatter and Company, TNC)는 텍스트큐브(前 테터툴즈), 이올린, 텍스트큐브닷컴과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것은 물론이고 다음의 티스토리도 개발한 바 있다. 내 블로그도 테터툴즈에서 텍스트큐브에 이어서 지금은 호스팅 문제로 티스토리로 운영되고 있기도 하다. 특히 텍스트큐브(前 테터툴즈)로 한국 설치형 블로그 툴의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웹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