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터넷 이야기

(133)
동영상 콘텐츠 수익모델 유형 (1) 광고 미디어의 가장 보편적인 수익 모델은 광고라고 할 수 있다. 서비스 모델은 B2C이지만 수익은 B2B를 통해서 창출하는 형식이다.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광고 모델을 동영상 광고(Ad-supported video streaming), 디스플레이 광고로 구분해보았다. 동영상 광고(Ad-supported video streaming)는 동영상 콘텐츠의 앞뒤로 짤막한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미디어의 가장 보편적인 수익 창출 방식인 광고 기법을 동영상 콘텐츠에도 적용한 것이다. 곰TV(그래텍), 아프리카(나우콤), 판도라TV 등 동영상 전문 업체는 물론이고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수익모델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동영상 광고는 크게 In-banner ad와 In-stream ad로 구분한다. In..
동영상 콘텐츠의 구분 현재 우리나라 동영상 콘텐츠의 인터넷 서비스는 포털, 동영상 전문 사이트, 방송사를 중심으로 성장 중에 있는데 동영상 UCC가 트랜드화, 마케팅 화되면서 콘텐츠의 제작 주체나 기술 방식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콘텐츠 제작 주체와 참여 정도에 따라서 UCC, UGC, UMC, PCC, RMC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UCC(User Created Content)는 이용자가 창작해낸 콘텐츠란 것이다. 원래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같은 의미인 UGC(User Generated Contents)라는 용어가 더 많이 쓰이는데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1999년부터 UCC라는 단어를 마케팅 용어로 사용했었던 것이 2005년 동영상 전문 사이트들이 UCC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UCC, UGC라고 불리는 ..
동영상 콘텐츠 발전 과정 인터넷 콘텐츠는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소리(audio), 동영상(video)등이 융합하여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동영상(動映像; Moving Picture; Animation; Motion Picture; Video)은 움직이는 그림이므로 텍스트나 이미지보다 많은 용량을 차지하며 다양한 기술이 구현되어 있다. 우리나라에 인터넷 상용 서비스가 한국통신의 KORNET(코넷)이라는 이름으로 선보인 것이 1994년이고 전국 전화망을 가진 KT가 ADSL로 초고속인터넷망 사업에 뛰어든 것이 1999년 12월이니 실제로 우리나라에 제대로 초고속인터넷이 보급된 것은 2000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99년까지 두루넷과 하나로통신의 초고속인터넷망 가입자 수는 265,744명으로 인구 ..
인터넷 수익모델 연구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있지만 이 논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동영상 콘텐츠의 인터넷 수익모델 역시, 인터넷 수익모델에 대한 연구에 포함될 것이다. 다만 단편적이고 제한된 수익모델을 적용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사업에 잘 적용시키고 있는 지와 그 연구의 적절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에 대한 분류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미 시도되었으며, 보다 논리적이고 포괄적인 기준으로 분류하기 위해 몇 가지 분류법들이 소개되어 있다. (1) 거래 주체 간에 따른 분류 첫째, 기업과 기업 간의 거래를 의미하는 B2B(Business-to-Business)형에 속하는 인터넷 수익모델은 라이센스 모델, 콘텐츠 신디케이션 모델, 시스템 구축지원..
CES 2008을 통해서 바라본 정보가전 시장의 메가트렌드 News 올해로 41번째를 맞이하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세계 가전 전시회)가 지난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나흘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었다. 'Experience the art of technology'라는 슬로건을 내건 이번 2008 CES에는 전세계 2,700여 개 업체가 참여하여 Digitally Networked Home과 차세대 통합적 모바일 단말(Mobile Device Integration)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전략 제품들을 선보였다. News Plus 이번 CES 2008의 화두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Digitally Content Access Anywhere, Anytime’ 즉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콘텐츠 향유가..
Future of the Internet Economy Conference 2008 요즘 세상은 너무 빨리 변한다. 정말 변하는 하나하나 용어를 따라잡기도 버겁다. 그래서 가끔 매체 기사를 보면서 저 기자들은 저 말뜻을 이해하고 쓰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그게 매체 뿐이랴. 빌게이츠나 스티브잡스 같은 양반들이야 워낙 특별하니까 그렇다고 쳐도. 나와 별반 달라보이지 않는 사람들, 특히 상대하는 업체나 회사 사람들한테 그런 모습을 볼때면 한편으로는 나의 부족함을 느끼고, 한편으로는 '저놈 또 구라치네'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 의미에서 생각해보면 블로고스피어는 많은 도움이 된다. 잘 찾아보면 정말 선수들이 직접 만들어가는 공간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정말 하루 종일 자기 일들은 안하고 여기저기 뒤져가면서 공부를 해도 따라가지 쉽지 않은게 사실이다. 그럼 그렇게 모든 것을 아는 듯..
2008년 온라인 시장 전망 인터넷 관련 조사 업체인 이마케터(eMarketer)는 이마케터 시니어 에널리스트들이 전망한 2008년 온라인 시장 전망을 발표(2008.1.4) ▷ 광고 지출 o 베이징 올림픽 및 미국 대선으로 인해 모든 부문에 걸쳐 광고 지출이 늘어날 것이 전망 - 특히 온라인 광고 지출은 더욱더 증가할 전망 ▷ 인터넷 동영상 o 인터넷 동영상은 TV 네트워크 등 전문 콘텐츠 제작사 뿐 아니라 아마추어 동영상까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으나 광고비 지출 규모는 미국내 전체 온라인 광고비에 비추어 여전히 소규모일 수준임 -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및 TV 네트워크들과 대규모 동영상 업체들이 소규모 광고 관련 기업들을 인수함으로써 온라인 동영상 시장의 강화 될 전망 ▷ 검색 엔진 o 최소한 한 개의 검색엔진이 거인들과 싸움을..
새해 선물! 우편함 속의 두번째 구글 수표 연말연시 각종 모임과 또...결정적으로 마무리하고 있는 개인사 작업 때문에 블로그에 포스팅을 소홀히 하면서 아직 새해 첫 포스팅을 올리지도 못했다. 하지만 오늘을 그냥 넘길 수는 없더라. 새해 첫 포스팅을 기쁜 소식으로 올리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 소식은 바로 두번째 구글 수표가 도착했다는 것이다. 지난 10월 10일에 첫번째 구글수표 117.64달러를 받은 이후 3개월이 조금 못된 오늘 두번째 구글수표 100.81달러가 날라왔다. 11월말일에 간신히 100달러를 넘겼는데 점점 자주 볼수 있길 기대한다. 내 블로그를 찾는 이들은 왜 구글애드센스를 잘 클릭하지 않는 걸까? 주요 콘텐츠와 연관이 있는 것 같다. 암튼 재미있다. 그런데 구글 달력 받았다는 사람은 누구지? 쩝~ 나한테는 오지 않았더군. 구글 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