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맛집 이야기

(58)
제주도 우도 소풍가는 날 아름다운 소풍 한라산 볶음밥 + 전복 스테이크 + 해물 짬뽕 제주도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여행지. 우도. 몇년만에 가본 우도는 정말 많이 변해 있었다. 자연 환경이야 변할 게 있었겠냐마는 평일임에도 우도 들어가는 배를 타기 위해 길게 줄선 자동차 행렬을 본 것도 처음이었고, 곳곳마다 관광 안내 표지판도 생겼고, 인터넷에 검색되어 나오는 맛집들도 많이 생겼다. 오전에 제주시에서 출발해서 우도에 들어가서 점심식사를 해결하려고 인터넷 검색해보니 한라산 볶음밥이라는 게 유명한 가보다. 한라산 볶음밥으로 유명한 곳이 몇 곳 생겼는데 진한 양념이나 매운 음식을 못먹는 딸램을 생각해서 다른 메뉴도 있는 곳을 찾았다. 소풍가는 날. 아름다운 소풍. 바로 앞에는 전도연 주연의 영화 인어공주 촬영장소가 있다. 한라산 볶음밥으로 검색해서 찾아간 곳이지만 식당 바로 앞의 풍경이 끝내준..
은평구 신사동 봉희설렁탕 본점 회사가 여의도 있을 때는 봉희설렁탕이 여의도에 있어서 가끔 찾았다. 하지만 회사도 상암동으로 옮기고 봉희설렁탕 여의도점도 없어졌다고 들어서 봉희설렁탕을 갈 기회가 없었다. 그러다 은평구 쪽을 지나다가 우연히 오랫만에 봉희설렁탕 본점을 찾았다. 본점이라고 공간이 그리 크지는 않다. 신발 벗고 앉아서 먹을 수 있는 테이블이 있고 한쪽은 의자에 앉아서 먹는 테이블이 있다. 설렁탕, 양곰탕, 우족탕, 수육 등 설렁탕 전문점 치고는 생각보다 메뉴가 많다. 테이블에 놓여 있는 김치. 깍두기, 배추김치, 백김치 3종류가 병에 담겨 있고 각자 접시에 담아 먹는다. 굵은 소금과 고추가루도 있다. 8천원짜리 설렁탕. 면과 고기가 적지 않다. 봉희설렁탕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자주 찾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봉희설렁탕도 체인..
상암동 한정식 덕승재 점심특선 회사도 상암동이지만 집도 한강 다리만 넘어가면 되는 가까운 곳이라 상암동에서 이런저런 모임을 많이 가진다. 작년까지는 색동저고리라는 한정식 식당이 있어서 가족 기념일이나 좀 어르신들 모시고 폼 내며 식사할 곳으로 잘 이용했는데 식당이 없어지고 말았다. 회사 바로 앞에 덕승재라는 곳이 새로 생겼는데 사실 저녁이나 주말은 너무 비싸서 갈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다가 우연히 기회가 생겨서 점심식사를 할 기회가 있었다. 생긴 지 얼마 안되는 고급 한정식 식당 답게 인테리어도 전통식이다. 빼곡히 열려 있는 문 틈 사이로 손님들이 남기고 간 빈 접시들이 보인다. 창밖으로는 CJ E&M 건물이 보인다. 평일 점심에는 18,000원짜리 점심 특선 코스가 있다. 비싼 가격이긴 하지만 저녁이나 주말 다른 코스 메뉴에 비..
방화동 고성막국수 순메밀 100% 막국수 집과도 멀지 않은 강서구 방화동에 막국수 잘하는 곳이 있다고 해서 몇달 전부터 벼르다가 찾아간 곳. 고성막국수. 순 메밀가루를 즉석에서 반죽하여 국수틀로 뽑아낸 면을 금방 삶아내어 김치나 동치미 국물에 말아 먹거나 야채와 양념으로 버무리고 여기에 식초, 겨자, 육수를 곁 드려 비벼 먹으면 더욱 좋은 맛을 즐길 수 있다. 막국수는 임진대란 이후 조선 인조시대에 즐겨 먹던 음식으로 긴 겨울밤 밤참으로 애용 되어온 강원도 산 식품이다. 막국수는 암, 위장병, 성인병을 예방하는 건강식품이며, 여성피부에 좋은 미용식품이며, 비만, 당뇨병 치료에 좋은 치료식품이며, 시원하면서 톡 쏘는 맛과 부드러운 면발이 별미인 미각식품이다. 막국수의 주원료인 메밀은 기온이 차고 높은 지역 대에서 수확한 것이 맛이 좋다. 메밀은 ..
파주 심학산 된장예술 말로만 듣다가 처음 찾았던 파주 심학산 먹거리타운. 제법 식당들이 많이 모여 있었는데 우리 일행이 찾았던 곳은 된장예술 평일 저녁 시간에 찾았는데 사람들이 제법 많이 있다. 종류별로 나물과 반찬들이 놓여지고 된장은 4인분이 한꺼번에 가스불 위에 놓여 졌다. 된장예술의 된장찌개. 생선과 반찬 15가지. 밥은 돌솥 용기에 담아 나왔다. 밥맛은 좋았다. 된장예술에는 다른 메뉴는 없는 것 같다. 된장 정식 11,000원.
합정동 메세나폴리스 몬테그릴 모처럼 찾았던 합정동 메세나폴리스. 어디를 가던 식사 해결 하는 게 제일 고민거리 중 하나다. 새로운 곳을 찾았을 때 식당들이 많은 데 손님이 없으면 웬지 더 가기 싫다. 멀리서 사람들이 줄 서 있는 식당이 보인다. 몬테그릴. 합정역과 연결되어 있는 메세나폴리스. 서울이 높은 빌딩 숲으로 이뤄져 있고 최근 몇년동안은 초고층 주상복합 빌딩이 많이 늘어났지만 대부분 강남쪽. 넓게 잡아도 여의도 기점으로 서울의 동쪽에 있다. 합정역에 있는 메세나폴리스는 서쪽에 있는 몇 안되는 39층짜리 초고층 주상복합 빌딩이다. 처음에는 홍대나 신촌과 떨어져 있어서 좀 생뚱 맞은 상권이다 싶었는데 오히려 붐비지 않고 적당하게 사람들이 몰린다. 멀리서 보이는 몬테그릴. 그리 크지 않아 보인다. 테이블 수가 그리 많지 않지만 깔..
상암동 김영섭초밥 상암동도 회사가 많이지면서 점심때는 식당 고르는 게 쉽지 않다. 아직 식당가가 조성된 지 얼마 안되어서 맛집이라는 곳은 별로 없고, 초기 자리 잡느라 식당들이 계속 바뀌는 곳이 많다. 그래도 추천할 만한 곳 중 한 곳이 김영섭 초밥. 2003년부터 생겼다고 하는데 상암동에 온지는 오래되지는 않았다. 점장이 생활의 달인에 나온 적도 있다고 한다. 내가 가끔 김영섭 초밥을 찾는 이유는 점심 메뉴가 깔끔하기 때문이다. 보통 초밥집은 비싸거나, 아니면 점심 세트메뉴를 먹으면 잘 안먹 초밥이 꼭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김영섭 초밥은 사람들이 잘 찾는 것만 깔끔하게 나온다. 1인 세트인 김영섭초밥은 9,900원. 초밥 11p와 반모밀 (겨울에는 반우동)이 나온다.2인 세트는 달인세트는 24,000원. 초밥 2..
상암동 토종닭백숙과 닭도리탕, 맛이 깊은 집 회사가 있는 상암동에도 삼계탕, 백숙 식당이 몇군데 있다. 이날 찾은 곳은 맛이 깊은 집. 많은 백숙 식당들이 그렇듯이 영양탕 식당인데 삼계탕이나 백숙, 닭도리탕 (닭볶음탕)도 있고, 직장인들이 많은 동네라서 점심 메뉴도 다양하게 있다. 이곳은 항상 이름이 헷갈린다. 맛이 깊은 집인지, 깊은 집인지 모르겠다. 맛이 깊은 집 실내. 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다. 주방이 보인다. 기본 밑반찬. 미리 예약을 해서 토종닭 백숙이 금방 나왔다. 토종닭 씨알이 굵다. 퍽퍽하지 않게 잘 요리되었다. 비싸긴 하지만 뼈 가르기 바쁜 삼계탕보다 큰 백숙이 먹기 좋다. 내가 너무 큰 덩어리를 먹은 모양이다. 백숙에는 같이 나온 찰밥. 처음 왔을 때는 이 찰밥을 그냥 먹었던 적도 있다. 하지만 이 찰밥은 백숙을 다 먹고, 죽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