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바일기획

(8)
SKT와 엠파스, 네이트닷컴은 어떤 놈을 만들어낼까? 작년에 SK커뮤니케이션즈가 엠파스를 인수했는데 어제 엠파스가 SK커뮤니케이션즈를 흡수합병하는 방식을 취했다고 한다. SK그룹의 지주회사랑 코스닥 우회상장 어쩌구 하는 소리가 덧붙여지지만 결론은 엠파스의 대주주가 SK텔레콤이 되었다. SK커뮤니케이션즈의 대주주가 SK텔레콤이었고, SK커뮤니케이션즈가 엠파스를 먹어서 결과적으로 SK텔레콤이 엠파스를 밑에 두고 있는 셈이긴 했지만 회사가 통합되면서 엠파스라고 하니까 또 느낌이 다르다. 물론 통합브랜드는 바뀔수도 있다고 하더라. 얼마전 싸이월드와 네이트닷컴이 도메인이 분리되고, SK텔레콤용 풀브라우저를 엠파스에서 개발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검색 노하우가 있는 엠파스를 SKT의 풀브라우저로 탑재하면서 유무선 통합을 모색하는 게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각기 따로 떨..
모바일 벨소리/캐릭터 사업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7] 모바일 벨소리/캐릭터 사업의 이해 1. 벨소리/캐릭터 사업의 현황 - 벨소리, 캐릭터 서비스는 멀티폴리와 컬러 서비스의 등장으로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또한 이용자의 사용패턴 변화에 따라 각기 초기의 단순한 서비스에서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영화/방송, 사회, 문화적 주제를 반영하는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 서비스의 발전속도와 인기는 계속적으로 신규 콘텐츠를 개발하게 하고 있으며, 신규 직업이 창출될 정도로 놀라운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2. 벨소리 제작과정 - 벨소리 제작과정은 다른 유,무선의 콘텐츠와는 다르게 별도의 독특한 제작과정을 거치며, 또한 각 음원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툴을 사용하고 응용하여야 합니다. - 인기있는..
모바일 콘텐츠 저작권법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 6] 모바일 콘텐츠 저작권법의 이해 1. 모바일 콘텐츠 저작권법의 개요 - 저작권(copyright)이란 문학, 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창작물(저작물)의 창작에 의하여 그 창작물에 대하여 창작자(저작자)가 취득하는 권리로써 저작재산권과 저작인격권을 의미합니다. - 저작인접권(neighboring right)는 실연자가 실연을 할때, 음반제작자가 음을 맨 처음 유형물에 고정한 때, 그리고 방송사업자가 방송을 할때 각각 취득하는 권리입니다. - 저작권의 등록이란 저작자의 성명 등 저작권법에서 정한 일정한 사항을 저작권 등록부에 기재하는 것을 말하며, 추정력, 대항력 등이 생깁니다. - 법인, 단체 그밖의 사용자의 기획 하에 법인 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업무상 작성하는 저작물로서..
모바일콘텐츠사업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5] 모바일콘텐츠사업의 이해 1. 모바일 콘텐츠 사업의 특성 - 모바일 콘텐츠 사업은 디지털 콘텐츠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이 무선 네트워크라는 전달 매체(미디어)를 이용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별도의 기술적, 사업적 특성을 갖습니다. - 모바일 콘텐츠 사업은 타 미디어 콘텐츠 사업에 비하여 개인화, 휴대성, LBS등에서 가장 큰 차별화된 특징을 갖습니다. - 타 미디어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매우 제한적이며, 장소에 따른 접근성은 뛰어나나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많은 효과를 보기 원하기 때문에 기존 매체와는 다른 사업적 기획력이 필요합니다. 2. 모바일 콘텐츠 산업의 구조 - 국내에서 모바일 콘텐츠 사업 진출시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이동통신 사업자들과의 관계..
모바일플랫폼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 4] 모바일플랫폼의 이해 1. WAP의 이해 -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이란 모바일 환경 전용의 인터넷 접속용 프로토콜입니다 - WAP은 바이너리 데이터 형태로 통신하며 게이트웨이를 통해야 합니다 - WML(Wireless Markup Language)은 무선 단말기 상의 화면을 기술하는 언어입니다 - WML은 간단한 형식과 제한적인 기능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2. ME 이해 - ME는 현용 모바일 인터넷 브라우저이며 데스크탑의 IE에 대응합니다 - ME는 SIS / MA-3등 모바일에 특화된 콘텐츠 타입을 지원합니다 - HTML은 유선 인터넷 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에서도 널리 쓰이며 실질적으로 웹 콘텐츠 부분의 표준입니다 - ME는 표준적인 HTM..
무선 인터넷 망/단말기 기술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3] 무선 인터넷 망/단말기 기술의 이해 1. 데이터통신과 인터넷 일반적 기술 - 계층별 Protocol을 이해하면 Data통신의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Protocol 계층구조 (OSI 7) . application layer :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layer (예; FTP, SMTP,STTP) . transport layer : Data의 송수신시 발생되는 오류, 혼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layer (예; TCP, UDP) . network layer : 다른 네트워크들과의 data 송수신에 대한 layer (예; IP, routing protocols) . link layer : Physical layer 위에서 제공된 data의 네트워크 송수신 기..
Wireless Internet Market Review & Preview [모바일인터넷기획2] Wireless Internet Market Review & Preview 1. Global Wireless Internet Market - Voice Revenue의 성장 정체 속에서 Data Revenue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주요국의 데이터 수익은 이동통신 전체 매출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와 단말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중심으로 고기능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 범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경우, 무선인터넷을 위한 무선 통신 인프라가 타국 대비 현격히 떨어짐에 따라 무선인터넷 발전이 저해되고 있습니다. - 서유럽의 경우, 2004년까지 3G 사업에 대해 회의적인 전망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사업자들의 3G 서비스 경..
모바일 인터넷 산업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1] 모바일 인터넷 산업의 이해 1. 모바일 인터넷 정의 - 무선 인터넷이란 무선을 기반으로 이동성을 가진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 기본적으로 정보의 전송속도, 안정성, 확장성에서 유선 인터넷이 우월하나 무선은 휴대성이 있어서 우수합니다. - 모바일에서 콘텐츠를 기획시 단말기 성능, 정보 전달력 차이, 접속 형태 등의 유무선 차이점을 고려행 합니다. - 무선 인터넷은 유선에 비해 표현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기획시 이와 같은 정보전달력의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Text 정보 전달시 화면의 크기에 차이가 있으므로 유선에 비해 간결한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2. 모바일 인터넷 산업구조의 이해 - 무선 인터넷 산업은 네트워크, 장비, 솔루션, 콘텐츠 산업군으로 구분됩니다.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