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NO (1) 썸네일형 리스트형 MVNO,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을까 2009년 하반기부터 제도와 법적인 근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최근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들의 시장 진출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과제, 해외 성공 사례 및 실패 사례 분석 등을 담은 'The Possibility for MVNOs in Korea'라는 주제의 보고서를 한국IDC에서 발간했다. 한국IDC는 MVNO가 도입될 경우 2008년 말 기준, 보급률이 93.8%에 달해 포화 국면에 접어든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이 활성화되어 소비자의 통신사 선택이 보다 다양화되며 통화 요금 인하의 직접적인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유무선 통합 및 융합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통신과 방송, 금융 서비스 등 타업종간 컨버전스도 효율화될 수 있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