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시위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촛불 시위는 변화와 참여에 대한 열망 지난 9월 5일, Lift Asia 08 컨퍼런스 두번째날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펼쳐진 두번째 세션에서 희망연구소의 홍일표 박사는 지난 5월 한국을 달구었던 촛불시위를 '변화와 참여에 대한 열망'이라고 표현하면서 광화문과 시청앞의 촛불시위가 처음이 아니었음을 되새겨준다. 80년대 후반 민주화 운동을 위해 모인 사람들의 모습도 시청앞이었고, 낙선운동과 노무현 대통령 선거도 같은 장소에 사람들이 모였다. 그러다가 2002 월드컵 거리 응원에는 처음으로 밤에 도로로 나왔고, 2002년 겨울 다시 거리로 나오게 만든 것은 미선, 효순양 미군장갑차 사망 사건과 한미협정 문제였다. 이후 2004년 대통령 탄핵 무효 촛불시위로 밤에 촛불시위가 열리게 되었다. 이뿐이 아니다. 이전의 시위가 남성들 중심이었고, 폭력이.. 조중동과 다음, 네이버, 방통심의위 그리고 서명덕 기자 7월 첫날 인터넷 미디어 동네에 참 많은 사건이 있었던 날일 것이다. 하나. 조중동과 다음 조.중.동!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에서 국내 2위 포털인 다음에 뉴스 전송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한다. 그것도 당장 이번 주말인 7월 4일이나 5일부터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원래 뉴스사와 포털사간의 저작권이나 편집주도권, 콘텐츠 댓가 등의 여러가지 현안이 있긴 하지만 그런 것과는 무관하다. 최근 촛불시위와 관련한 보도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조중동 광고주 불매운동과 관련이 있지 않겠느냐고 추측하고 있다. 이 소식을 접하고 드는 몇가지 생각. 1) 조중동 정말 쪼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한편으로는 요즘 광고주 불매 운동이 큰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겠지만 동네 양아치들 싸움하는 것도 아니고 기분 나.. MB산성에 적혀 있는 어록들 모처럼 평일 저녁 시간에 시내를 나갔더니 촛불 집회후 거리 시위가 한창이다. 시위대와 함께 잠시 있다가 광화문 교보빌딩 쪽으로 향하니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 그 이름도 유명한 MB산성이 떡 하니 버티고 있다. 사람들은 마치 한강둔치공원에 나온 사람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다. 하지만 그들의 앞에는 촛불이 하나씩 놓여 있었고, 그들의 대화는 시국에 대한 걱정, MB에 대한 한탄 등이 섞여 있었다. 멀리서 MB산성을 보니까 "미국에 굴복말고 국민에 항복하라!"이라는 피켓이 걸려 있다. MB산성에 다가가니 정말 가관이다. 빼곡하게 적은 글자들이 내 발길을 멈추게 한다. 더 심한 소리들이 많이 있었으나 참신성 위주로 내 눈길을 끈 메모들을 사진에 담아봤다. 인천 신기촌 '대박 왕곱창' 주인 아줌마! 이젠 못가겠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