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라디오

(5)
통합 인터넷 라디오 R-2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KBS와 TBS, 경인방송, 불교방송, 국악방송, 극동방송, 평화방송, 원음방송, 한경i라디오 총 9개 방송사 17개 채널을 한꺼번에 들을 수 있는 통합 인터넷 라디오 R-2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나왔습니다. 제가 잠시(?) 관여하기도 했고, 생각보다 제법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잠시 소개드릴까 합니다. ㅋ 2006.2월 MBC mini, 5월 KBS Kong이 서비스된 이후 SBS, EBS, CBS, TBS, 국악방송, BBS, 아리랑TV 등 각 방송사별로 PC 바탕화면에 설치해서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인터넷 플레이어가 선보이고 이제 보편화되어서 직장인들이나 학생들이 PC로 다른 일을 하면서 라디오를 청취하죠. (참조 : 지상파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서비스 현황)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
KBSi,'디지털 시대, 음악 산업의 변화와 전망을 말한다' 토론회 개최 12월 14일(월) 오후 2시30분부터 마포구 서교동 KT&G 상상마당 4층 대강의실에서 ‘디지털 시대, 음악 산업의 변화와 전망을 말한다’ 토론회 개최 급속하게 변화되는 국내외 음악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음악 소비 매체인 방송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앞으로의 전망을 모색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KBS인터넷(주)(대표이사 송종문)은 오는 12월 14일(월), 서울 홍대앞 복합문화공간 상상마당에서 『디지털 시대 음악 산업의 변화와 전망을 말한다』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후원으로 진행되는 이번 토론회는 방송, 음악, 인터넷 업계의 전문가들과 관심있는 시민, 학생, 블로거 등 약 100명이 참석한다. 진행 순서는 첫번째 발제자로 나서는 한국콘텐츠진흥원 미래 콘텐츠융합..
[토론회] 디지털 시대 음악 산업의 변화와 전망 급속하게 변화되는 국내외 음악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음악 소비 매체인 방송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앞으로의 전망을 모색해보기 위해서 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통합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는 KBSi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후원하는 이번 토론회에 관심있는 방송, 엔터테인먼트, 인터넷 업계 관계자와 블로거 등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 일시 : 2009년 12월 14일(월) 오후 2시 30분~5시 40분 ■ 장소 : 서울 마포구 서교동, 홍대 앞 KT&G 상상마당 4층 아카데미 대강의실 (* 주차 지원이 안되니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최 / 후원 : KBS인터넷(주) / 한국콘텐츠진흥원 ■ 주제 : 디지털 시대의 음악 소비 양식의 변..
지상파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서비스 현황 2006.2월 MBC mini, 5월 KBS Kong이 서비스된 이후 SBS, EBS, CBS, TBS, 국악방송, BBS, 아리랑TV 등 각 방송사별 독자적으로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가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MBC mini는 2005년 가을개편때부터 논의되어서 준비되어 iMBC에서 자체 개발하였다. KBS는 아이디어 차원으로는 이전부터 얘기가 됐으나 MBC mini 출시후 KBSi에서 본격 개발에 착수해서 2개월여만에 서비스를 오픈한 후 이후에 몇번에 걸쳐서 업데이트로 3차 버전을 운영중에 있다. SBS 고릴라도 MBC mini 서비스에 이어서 KBS까지 서비스를 준비한다는 소식이 들리자 홈페이지의 미디어 플레이어를 담당하던 업체에 개발을 의뢰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른 방송국도 대부분 외주 개발전문..
KOBA 2009에서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디오가 탑재된 디지털액자 등장 5월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된 제19회 국제방송,음향,조명기기전 KOBA 2009에서 세계 최초의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디오가 등장했다. KBS 한국방송을 포함하여 수도권 지상파 9개 방송사가 연합하여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디오 구현한 디지털 액자를 선보인 것이다. 라디오를 인터넷으로 듣는 청취율은 2007년 9.1% 였던 것이, 단 1년 만인 지난해엔 28.3%로 세배 이상 급증했으며, 20대의 경우엔 50%가 넘는 청취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콩”, “미니”, “고릴라”, “레인보우”, “반디”, “덩더쿵” 등의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보급에 적극 나서고, 수천 개의 개인 음악방송들이 앞 다투어 등장한 데 힘입은 것이다. 하지만 각각의 프로그램을 PC에 따로 설치해서만 들을 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