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바일사업

(5)
미디어 환경 변화 속에 모바일 콘텐츠는 활성화될까? 얼마전 있었던 모바일 콘텐츠 관련 토론회에 현업의 의견을 간접적으로 개진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토론 참가자들의 발제문에 제언을 하는 방식이어서 체계적이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정리해본 생각을 몇 단락 블로그에도 옮겨봅니다. ○ 미디어 환경 변화와 모바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융합은 향후 사람들의 미디어 소비 패러다임 변화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 구글이나 MS, 야후 같은 세계적인 인터넷 기업들이 모바일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많은 투자와 집중적인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서비스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웹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서비스의 발전과정을 점점 따라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실을 뒤집어 생각해보면 콘텐츠 부문에서 웹과 IPTV를 중심으로한 콘텐츠 서비스를 모바일..
모바일 웹 2008 컨퍼런스 후기 지난 12월 4일 열렸던 '모바일 웹 2008 컨퍼런스'에 참석했습니다. 종합적으로 컨퍼런스 내용을 분석해보면... ☞ 유선 인터넷과 무선 인터넷 환경은 점차 통합되어가는 과정 ☞ Nokia, Google 등 해외 주요 미디어그룹은 물론, SKT, KTF, LGT 국내 3개 이통사도 개방형 무선인터넷 환경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진행하며 대비 (* 특히 국내 3위 업체인 LGT는 이미 적극적인 오픈망 모델을 추진) ☞ 하지만 표준화, 요금제 등 많은 제약사항으로 단기간에 진정한 유무선 통합(1 Web)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으며, 당분간은 모바일이 독자적으로 Web化되어 가는 과정을 거칠 것으로 예상 ☞ NHN, Daum 등 포털사는 이통사에 종속적인 사업 환경 속에서 적극적인 서비스를 펼치지 않고, 투자와..
BBC, 모바일 콘텐츠 사업부문 강화 BBC Worldwide names head for mobile drive BBC월드와이드가 모바일 콘텐츠 사업부분의 새로운 책임자에 피터 머셔(Peter Mercier)를 임명했다고 한다. 휴대폰 텔레비전 회사인 MobiTV (유럽)의 전직 영업개발 이사였던 Peter Mercier는 ‘리틀 브리튼,’‘닥터 후’, 그리고 ‘톱 기어’ 같은 프로그램 브랜드로 BBC 월드와이드의 모바일 콘텐츠 사업 확장을 주도할 것이다. BBC 월드와이드는 영국의 모바일 사업자인 오랜지와 쓰리 및 뉴질랜드와 한국을 비롯한 국제적 파트너들과의 콘텐츠 공급 협정을 맺고 있다 런던에 기반을 둘 Peter Mercier는 중요한 일을 처리하고 국제 콘텐츠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면서 콘텐츠 사업을 더욱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Pe..
SKT와 엠파스, 네이트닷컴은 어떤 놈을 만들어낼까? 작년에 SK커뮤니케이션즈가 엠파스를 인수했는데 어제 엠파스가 SK커뮤니케이션즈를 흡수합병하는 방식을 취했다고 한다. SK그룹의 지주회사랑 코스닥 우회상장 어쩌구 하는 소리가 덧붙여지지만 결론은 엠파스의 대주주가 SK텔레콤이 되었다. SK커뮤니케이션즈의 대주주가 SK텔레콤이었고, SK커뮤니케이션즈가 엠파스를 먹어서 결과적으로 SK텔레콤이 엠파스를 밑에 두고 있는 셈이긴 했지만 회사가 통합되면서 엠파스라고 하니까 또 느낌이 다르다. 물론 통합브랜드는 바뀔수도 있다고 하더라. 얼마전 싸이월드와 네이트닷컴이 도메인이 분리되고, SK텔레콤용 풀브라우저를 엠파스에서 개발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검색 노하우가 있는 엠파스를 SKT의 풀브라우저로 탑재하면서 유무선 통합을 모색하는 게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각기 따로 떨..
모바일콘텐츠사업의 이해 [모바일인터넷기획5] 모바일콘텐츠사업의 이해 1. 모바일 콘텐츠 사업의 특성 - 모바일 콘텐츠 사업은 디지털 콘텐츠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이 무선 네트워크라는 전달 매체(미디어)를 이용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별도의 기술적, 사업적 특성을 갖습니다. - 모바일 콘텐츠 사업은 타 미디어 콘텐츠 사업에 비하여 개인화, 휴대성, LBS등에서 가장 큰 차별화된 특징을 갖습니다. - 타 미디어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매우 제한적이며, 장소에 따른 접근성은 뛰어나나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많은 효과를 보기 원하기 때문에 기존 매체와는 다른 사업적 기획력이 필요합니다. 2. 모바일 콘텐츠 산업의 구조 - 국내에서 모바일 콘텐츠 사업 진출시 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이동통신 사업자들과의 관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