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야기2008. 8. 18. 18:05

28, 56kbps의 전화선을 연결한 PC통신을 사용하던 때가 불과 10여년 전입니다. 간단한 문서파일, 이미지 파일을 이메일로 전송하는데도 수분이 걸릴 정도였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집 전화를 사용하지 못했던 기억이 오래지 않습니다.

하지만 10여년이 지난 지금 시골 구석까지도 초고속인터넷으로 멀티미디어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고 있게 되었습니다. 어린이까지 대부분 휴대폰을 가지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 블로그나 미니홈피 같은 개인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라는 것을 부인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냥 정보만 나열되어 있는 곳이 아니라 사람들이 모여서 커뮤니티를 이루고 미디어 역할을 담당하며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생활에서 떨어질 수 없는 일부분이 되었습니다.

편해지고자 하는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습니다. 생활의 일부가 된 인터넷을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고자 하는 욕구를 숨길 수 없습니다. 이른바 유비쿼터스(ubiquitous) 세상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중국에서 열리고 있는 올림픽 중계방송을 보지 못하는 사무실의 직장인들은 개인PC와 휴대폰의 DMB를 통해서 시청하고 응원합니다. 이런 현상은 점차 확대될 것이고 TV 뿐만이 아닐 것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세상을 꿈꾸는 희망을 휴대폰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휴대폰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선으로 언제, 어디서나 연결이 가능한 세상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인터넷의 미래도 엿보려고 합니다.

거실의 TV가 인터넷과 연결되어 IPTV라는 것을 만들어내고 있듯이 우리 주변의 모든 화면에는 TV나 광고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연결되어 많은 정보와 사람들을 교류시킬 것입니다.

모바일 인터넷의 보편화를 상징하는 것은 유선과 무선의 통합입니다. 현재 이통사 내부의 WAP 중심으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PC 기반의 웹사이트와 통합되는 과정에 있습니다. 풀브라우징(full browsing) 서비스의 확대는 그런 의미에서 적지 않은 의미가 있습니다.

유선과 무선은 과연 통합될 수 있을까요? 생각보다 쉽지 않아 보입니다. 지금 풀브라우징 서비스가 가능한 휴대폰을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해보면 아직 많은 서비스의 이용이 한계가 있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웹이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벌써 수천만, 수억 이상의 웹사이트를 표준화하는 작업이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도 일정 시간이 해결해줄 것입니다. 기술의 발전은 어느 정도의 표준화를 감당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오히려 문제는 이러한 통합과 공유를 위한 인터넷을 바라보는 마인드와 정책일 것입니다. 각자 눈 앞에 놓인 사업자 당사자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의 특성상 폐쇄, 통제와 차단이 아닌 개방과 공유의 정신을 기본으로 한 철학이 필요합니다.

'공유'의 개념에 대해서는 시장의 논리와 배치되는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개방'의 정신은 경쟁을 가능하게 하고 기술과 생활양식의 진전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Posted by 정훈온달